이제 중국사회에서 권력과 관련하여서 언급하겠다. 권력은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사회적 대립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권력은 사회의 다른 단체나 계층 사이에 주종의 형태를 표현한다. 상층은 권력을 장악하고, 그들은 권력으로 하층을 지배한다. 즉 대립 과정의 지속이며, 일종의 휴정상태 속의 임시적인 균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권력을 횡포권력이라 불러도 무방하다. 반면, 사회적 조화의 측면에서 보면, 권력은 오늘 날의 사회는 사회분업화의 결과로 서로에게 의존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이렇게 서로에게 일이 맡겨지다 보니,권리와 의무를 생기게 된다. 즉 각각의 사람들은 각자를 돌보는 일과 각각의 사람들을 도와 서로 감독할 책임이 있다. 이렇게 공동으로 주어진 권력을 동의 권력이라고 한다. 하지만, 농민들에겐 이러한 권력은 필요치 않다. 그저 자연 속에서 여러 사람들과 대면적 접촉만을 할 뿐이지,남을 지배하거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권력 쟁탈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농촌 사회는 어떠한 권력도 필요치 않은 무위정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농촌과 같이 중국도 노인공경이 이루어지고 노인들의 말이라면 잘 듣고 잘 수행한다 이러한 점에서는 장로 통치를 통해 중국 농촌사회는 이루어진다.
이 책에서 제일 재밌었던 부분은 바로 혈연과 지연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끝임 없는 골칫거리인 그것들이 중국에서는 과연 어떻게 해석하는 가가 정말로 궁금하였기 때문이다.
혈연이란, 사람과 사람의 권리와 의무가 친족관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는 것이다. 친족은 출산과 결혼으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혈족은 엄밀히 출산으로만 생기는 친자관계를 말한다. 이러한 혈연으로 이루어진 사회는 안정적이고 변동이 크지 않다. 혈연에 의하여 결정되는 사회적 지위는 개인적인 선택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렇게 경쟁을 할 수도 없고, 숨기거나 왜곡하기도 쉽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개인의 직업, 신분, 재산을 결정하는 표준으로 삼는다는 사실은 가장 비 논리적인 것 같다. 하지만, 이 방법이 기존 질서를 안정시키는 데는 최고의 방법이다. 옛날 윗대부터 머슴인 집안의 자식은 무조건 집안이고, 양반 집안이면 그 양반의 자식도 계속하여 양반 이듯이 신분은 물론, 직업까지도 안정적이게 된다. 반면, 지연은 출생을 통하여 결정되어진다.어느 한 지역에서 태어나서 같이 성장한 사람들끼리는 혈연 몹지 않은 끈끈한 정이 생기고, 그것이 지연의 시작이다. 혈연과 지연의 합일은 지역사회의 원시적 상태이다. 그러나 인구가 증가하여 혈연사회군이 일정 수준까지 늘어나면 그들은 일정 지역에 모여 살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하여, 그들은 고향을 떠나게 되고 새로이 정착한 곳에서 새로운 지연으로 살아갈 것 같으나, 아니다. 자신의 윗대부터 계속하여 이어져 오던 그것을 삶의 터전을 옮겨서도 계속하여 간다. 하지만, 혈연은 그런 것 없이 평생 간다.즉, 어떻게 하면 마을 사람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 첫째로는 땅에 뿌리를 내려야 하며 둘째는 혼인함으로써 그 지방의 친족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그렇지만, 중국에서도 혈연과 지연관계는 약간의 사회활동을 제한하며, 또한 득이 될 수도 있다. 혈연, 지연의 유, 불리에 관해서는 우리나라와 똑같으므로 언급하지 않겠다.
우리는 향토사회를 편의상 정체적 사회로 보았고, 특히 현대사회와 서로 비교할 때 정체는 향토사회의 특징이다. 그러나 향토사회는 현대사회에 비해 변화가 느릴 뿐이다. 변화가 느리다는 것의 주요한 의미는 변화의 속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변화의 속도가 다름으로 인하여 변화방식의 특수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향토사회는 전통적 사회이다. 전통은 경험의 누적이고, 경험을 누적할 수 있다는 것은 자연선택적 각종 착오들이 도태된 후에도 남아 내려온 생활 방식이다. 행위자가 이러한 방식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을 하건 간에,그것들은 생존조건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향토사회에서 수많은 행위는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기에 각종 욕망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사회의 기본구조에 관해서 정리하여 보았다. 우리나라의 농촌모습과 비슷한 점이 많아서 많이 놀랬고, 그 사회만의 특이한 점에 대해서도 놀라였다. 약간의 체계적이지 못한 책 같아서 나를 어렵게 했지만, 현대 중국사를 배우는 데 있어서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기분이 뿌듯하다.
'역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남북전쟁의 결과 (2) | 2025.01.28 |
---|---|
미국 남북전쟁이란? (0) | 2025.01.22 |
한국, 중국 농촌사회에 대한 비교 (1) | 2025.01.19 |
중국사회의 기본 구조에 대한 정리 1 (0) | 2025.01.18 |
한반도(남/북한)와 미국과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0) | 2025.01.14 |